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매년 초여름, 개최될때마다 일본 전국민은 물론 해외의 팬들까지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는 아이돌 AKB48의 멤버인기투표라고 할 수 있는 'AKB48 선발총선거'. 한번 개최될때마다 발생하는 경제효과는 한국돈으로 2000~3000억원에 이르고, 개표결과 발표는 중의원선거와 동일하게 지상파로 생중계되며, 시청률은 20%에 육박한다. 아마 이렇게까지 아이돌그룹의 행사가 성대하게 치뤄지는 경우는 선발총선거 이외에는 없을것이다. 과연 이 '선발총선거'라는 행사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이제부터 그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2006년 2월 1일 AKB48은 인디즈 싱글 1집 '桜の花びらたち(벚꽃의 꽃잎들)'를 발매한다. 지금은 멤버수가 수백명에 이르지만 이 당시 AKB48의 초기 멤버는 20명이었다.(이것도 다른 그룹과 비교했을때 많은편이긴 하다.) 그리고 인디즈 1집 桜の花びらたち에서는 모든 멤버들이 제작에 참여했다. 그리고 2006년 4월 1일, 2기생 19명이 새로 그룹에 들어온다. 이제 그룹의 모든 멤버가 같은 곡의 제작에 참여한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본래 운영진의 계획은 인기투표를 통해 멤버들을 1군(軍)과 2군으로 나눠 1군 멤버들이 음반제작에 참가함과 동시에 미디어에 노출되고, 2군 멤버들은 언더(under)로서 인기투표에 따라 1군의 멤버와 교체되는 포지션을 맡는것이었다. 그러나 운영진은 2기생이 가입하기 직전인 2006년 3월 28일, 팀(team)제도의 도입을 발표한다. 20명의 1기생이 team A, 19명의 2기생이 Team B가 된다는 내용이었다. 이렇게 Team A와 Team B가 경쟁하는 초기체제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음반제작에 참여하는 '선발멤버'들은 '운영진의 임의'로 결정하게 되었다.
그런데 문제가 발생한다. 그 상태로 몇년이 흐르다 보니 당시 졸업한 멤버들을 합쳐 200명이 훌쩍 넘어가는 멤버들중에 선발로 발탁된적이 있는 멤버는 50여명에 불과했고, 심지어 10명(마에다 아츠코, 오오시마 유코, 타카하시 미나미, 코지마 하루나, 이타노 토모미, 미야자와 사에, 와타나베 마유, 키타하라 리에, 미야자키 미호, 마츠이 쥬리나)의 멤버들은 당시 첫 선발발탁후 한번도 선발에서 떨어진적이 없었기에 '선발고정'이라고 불렸다.
또한 본래 모든 멤버들이 AKS(AKB48의 기획사)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당시 AKS는 아이돌을 키워본 경험이 없는 신생기업이었으므로 멤버관리가 미숙했다. 그랬기 때문에 AKS는 AKB48 멤버들을 경험이 풍부한 다른 기획사들로 이적시킨다. 당연히 다른 대형기획사로 이적된 멤버들의 인기는 올라갔고, 활동도 원활해졌다. 하지만 대형기획사에 소속된 멤버들과 그렇지 못한 멤버들 사이의 인기에는 격차가 생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이 대형기획사에 소속된 멤버들만이 주로 선발로 발탁되게 되자 비인기 멤버들의 팬들은 '대형 기획사의 압력이 있는거 아니냐'며 항의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소문들이 세간에 떠돌기 시작했다.
결국 선발멤버의 고착화와 그로 인한 비인기멤버, 신규멤버에게 돌아가지 않는 기회, 선발발탁에 위기감을 느끼지 않는 일부 인기멤버들이 건성으로 활동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 것, 선발멤버의 구성기준에 대한 팬들의 불신 등 수많은 악영향이 속출하자 결국 운영진은 2009년 4월 콘서트(神公演予定)에서 2009년 8월에 발매되는 싱글의 선발구성은 인기투표를 실시하여 그 인기투표의 순위대로 하겠다는 발표를 한다. 2009년 8월에 발매된 싱글의 선발구성을 결정하는 인기투표가 바로 1회 선발총선거였는데 사실상 1군/2군체계와 유사한 시스템으로서 '원점회귀'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안티(anti,アンチ). 영어로는 '반대하는, 좋아하지 않는' 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다. 보통 어떠한 것을 싫어하는 사람, 특히 특정 연예인을 싫어하는 사람을 그 연예인의 '안티'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왠만한 것들에는 모두 그것에 대한 '안티세력'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정 가수나 연예인은 물론이요, 음식, 기업, 제품, 정치인에 이르기까지.. 개인적인 정치성향에 따라 특정 정치인에게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고, 수많은 사람들이 치느님이라 칭하며 추앙(?)하는 치킨이라는 음식을 싫어하는 사람도 분명히 존재하며, 인터넷의 댓글창에서는 여러가지 핸드폰 브랜드의 팬들끼리 뒤엉켜 서로를 깍아내리며 진흙탕 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이렇듯 안티라는 단어가 지칭하는 대상들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하지만 안티라는 단어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장소는 바로 연예계가 아닐까?
↑연예인에게 안티라는 존재는 위의 이미지로 설명할수 있을것 같다. 안티세력의
언행으로 인해 상처를 입기도 하지만 동시에 안티세력의 비판을 받아들여 자신의
단점을 보완해 나가기도 한다.
현재 일본에서 최고의 여자 아이돌로 평가받는 AKB48에게도 안티세력은 존재한다. 다른 여자 아이돌그룹의 팬으로서 경쟁관계에 있는 AKB48을 싫어하는 경우, 애초에 아이돌이라는것 자체를 싫어하는 경우, AKB48의 지나친 상술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 등등 AKB48이라는 그룹 자체를 싫어하는 안티세력으로서 일반적인 아이돌그룹의 안티세력과 동일한 속성을 지니는 안티세력이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AKB48에는 다른 아이돌그룹에서는 거의 찾아볼수 없는 특이한 속성의 안티세력 역시 존재한다. 바로 AKB48이라는 그룹의 팬이기는 하나 특정 멤버를 싫어하는 안티세력이다. 이들의 경우에는 AKB48의 안티세력이라고 할수 있을지는 조금 애매한 감이 있기도 하나 일단 AKB48에 대한 정보를 모아놓은 일본의 사이트인 '에케페디아'에서는 이들 역시 안티세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실 AKB48의 팬들사이에서 사용되는 'AKB용어'로서의 '안티'라는 단어는 후자를 지칭하는 성격이 짙기도 하다.
↑실제로 AKB48의 팬들 중에는 특정멤버를 편애하고, 특정멤버를 미워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로 인해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가끔씩 키보드 배틀이 펼쳐지는 일이 종종 있는데 아무리 온순한 사람이라도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가 공격을 받으면 윗 그림의 소처럼 변하는 경우가 많다.
어째서 이러한 성격의 안티가 존재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바로 그룹의 규모와 치열한 경쟁시스템에서 찾아볼수 있다. AKB48의 멤버수는 자매그룹들까지 모두 합쳐 200명을 훨씬 상회한다. 이러한 엄청난 그룹규모로 인해 그룹내의 모든 멤버를 좋아하기는 커녕 모든 멤버들의 이름을 외우는 것 조차 쉽지가 않다. 어쩔수 없이 팬들은 마음에 드는 1명 또는 복수의 멤버를 골라 그 멤버들을 중심으로 팬질을 할 수밖에 없다. (좋아하는 멤버를 보통 오시멘(推しメン)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AKB48이라는 그룹내에서는 멤버들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진다. 우선 총선거에서는 상위 80위까지의 순위가 발표되는데 총선거에서의 순위경쟁도 있으며, 거기에다가 싱글 타이틀곡의 제작에 참여할수 있는 멤버는 고작 16명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그 16명 안에서도 1명만이 센터의 자리를 차지할수 있다. (가끔은 더블센터가 나오기도 한다.) 본 블로그에 올라온 'AKB48소개'라는 말머리를 단 게시글들을 읽어보신 분들은 알겠지만(http://akb48chunson.tistory.com/4) 그 16명을 선발이라고 부르며, 1년에 한번은(초여름) 총선거를 통해 그 선발을 결정하며 나머지의 경우에는 운영진이 임의로 선발진을 구성한다. 보통 총선거를 통해 결정된 선발구성은 대부분 인기에 의해 좌우되므로 큰 논란은 없는 편이다. 하지만 운영진의 임의로 구성된 선발구성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선발멤버의 구성에 있어서 특정 멤버에 대한 운영진의 푸쉬가 계속 이어질경우 푸쉬를 받은 멤버에 대한 어마어마한 규모의 안티팬층이 형성되게 된다. 물론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성격의 안티팬들은 대부분이 AKB48의 팬인 경우가 많다.
운영진의 거침없는(?) 푸쉬로 인해 어마어마한 팬층을 얻게 됨과 동시에 어마어마한 안티세력이 형성된 멤버로는 대표적으로..
마츠이 쥬리나(松井珠理奈/SKE48)가 있다.
무려.. 본인이 그룹 가입후 첫번째 선발로서 참가한 10집 싱글인 오오고에 다이아몬드(大声ダイヤモンド)에서 센터를 서게 되었다. 이 일은 2008년의 일로, 이미 어마어마한 세월이 흘렀지만 불쌍하게도 마츠이 쥬리나는 아직까지도 안티팬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인기도 많다. 카미세븐(총선거 순위 상위 7명의 멤버)에도 들어가는 멤버이다.)
↑AKB48의 10th 싱글 '오오고에 다이아몬드(大声ダイヤモンド)의 앨범자켓사진.
앨범자켓사진에도 마츠이 쥬리나 혼자(!)만 있다!
그리고 최근에 이와 비슷한 일을 겪고 있는 멤버로는...
미야와키 사쿠라(宮脇咲良/HKT48)가 있다.
사쿠라의 경우에는 푸쉬의 강도가 위에서 언급한 마츠이 쥬리나에 비해 훨씬 강력하다. 어느 수준이냐면... AKB48의 전성기시절 최고로 인기가 많았지만 지금은 졸업한 '인기졸업멤버'가 그룹결성 10주년을 맞아 AKB48의 43rd 싱글음반의 타이틀곡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무려 그 곡의 센터가 미야와키 사쿠라(참고로 사쿠라는 이 음반의 제작에 참여한 졸업멤버들과 비교하면 아직 풋내기 수준이다.)였다. AKB48의 10주년인데다가 AKB48소속이었고, 인기도 최상급이었던 졸업멤버 4명(이타노 토모미, 오오시마 유코, 시노다 마리코, 마에다 아츠코)이 제작에 참여하는 싱글음반인데 HKT48에 소속된 미야와키 사쿠라가 '센터'로 결정됬다는 것은 본점(AKB48)팬들의 분노를 살만하긴 했다.
↑미야와키 사쿠라가 센터에 서있고 양 옆에 마에다 아츠코와 오오시마 유코가 서있는 놀라운 일이 펼쳐졌다. 사실 AKB48이라는 그룹 전체의 미래를 위한다면 미야와키 사쿠라가 센터를 서는 것은 당연한 선택일수도 있다. 기성멤버들이 차례차례 졸업하고 있는 지금 AKB에는 강력한 차세대 멤버들의 등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야와키 사쿠라가 43rd 싱글 타이틀곡이 센터라는 발표가 나왔을때 본점의 팬들은 어마어마한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었다.
이렇게 그룹전체를 모두 좋아한다기 보다는 소수의 멤버들만을 편애하는 방식으로 팬질하는 팬의 비율이 타그룹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보니 이러한 '그룹내 안티현상'은 필연적으로 일어날수밖에 없는 현상이다. 물론 그룹 전체를 팬질하는 팬들도 존재한다. 이들을 보통 AKB용어로는 DD(誰でも大好き,daredemo daisuki,누구든지 다 좋아한다는 의미)라고 부른다. (필자도 DD에 가깝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DD들은 어느쪽에도 편향되지 않은 시각으로 진정으로 그룹전체의 미래를 위한 의견을 말할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 보통 DD들은 43rd싱글 타이틀곡의 센터로 미야와키 사쿠라가 발탁된 것에 대해 대체적으로 호의적인 반응들을 보인다. 물론 본점의 다른 멤버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의견도 나는 존중한다.
지금까지 AKB48의 안티문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룹내 안티팬'의 경우에는 자신이 싫어하는 멤버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외모등 피상적인 논리로 그룹을 욕하는 '그룹외 안티팬'들 보다 훨씬 논리적이며, 욕설의 경우에도 해당 멤버의 가정사, 평소의 품행등을 엮어 보다 복잡하고, 훨씬 모욕적인 욕설을 쏟아내는 경우가 많다. 물론 컴퓨터 자판을 마음껏 두들기고, 차마 입에 담기도 힘든 욕설을 마음껏 내뱉는 안티팬의 기분은 시원할지 몰라도 그 글을 보게 되는 멤버의 입장에서는 그 안티팬의 한마디 한마디가 쉽게 아물지않는 크나큰 상처로 남게될지도 모른다. 물론 그 멤버의 팬들 역시 상처를 받게 될것이다. AKB48의 '그룹내 안티팬'들의 목소리가 단순한 욕설이 아닌 그룹과 멤버들을 위한 진심어린 충고가 되기를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친다. 나의 이 부족한 글을 읽는데 소중한 시간을 할애해준 여러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